통합검색
 
닫기
통합검색
 
  • home
  • 대학원과정
  • 교육과정

대학원과정

교육과정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DKL5102 고전작가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 No
고전 작가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고전문학 작가론을 전반적으로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고전문학 작가론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3 국어학이론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 No
국어학 연구에 요구되는 이론적인 논의와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의 이론을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에 대한 이론적, 독자적인 관점을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4 국어학응용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Yes
국어학 연구의 이론을 실제적인 언어 자료에 적용하는 응용적인 논의와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 이론이 적용되는 다양한 응용적 양상을 연구하여,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 연구의 실질적이고 응용적인 관점을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5 국어학과제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Yes
국어학 연구에서 이론과 적용의 관점에서 주목받았던 논의 과제들을 수시로 달리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국어학의 쟁점과 논리, 논의의 전개 과정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 전문 학자로서 국어학의 쟁점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DKL5109 한문학특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 No
이 과목은 한국한문학 연구에 요구되는 특수과제들을 설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최근 주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연구주제를 검토하여 한국한문학의 연구 흐름을 이해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DKL5114 1980년대문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 No
1980년대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 한국의 문화정치와 이념 지형을 이해하는 데에도 긴요한 일이다. 이 과목은 민주ㆍ민족ㆍ민중운동과 노동문학ㆍ민중문예 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대이며, 동시에 고도 경제 성장과 대중문화 융창의 시기였던 1980년대의 문학 문화를 다룬다. 1980년대에 발표된 다양한 문학 작품은 물론 문화운동과 그 논리, 대중문화에 대해서도 탐색한다.
DKL5115 한반도문학문화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국어국문학과 - No
해방 후 남한 문학과 북한 문학에 대한 호혜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문학사를 재검토한다. 북한 문학에 중심을 두되, 한국과 동아시아주변국과의 관계성 하에서 문학 현상을 이해한다. 분단 체제 및 평화 체제와 한반도 문학의 관계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문학을 중심으로 하되, 문화 현상 전체를 조망한다.
EAS4247 동아시아문화와공공외교 3 6 전공 학사/석사 1-4 Yes
동아시아 문화(사상, 철학, 역사 등 포함)와 공공외교의 상관성, 동아시아 국가들의 공공외교 특성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동아시아 특성화 공공외교의 이론적 기반을 탐색하는 한편, KF 등 한국 공공외교 시행 사례를 통해 한국형 공공외교의 나아갈 방향성을 고찰
EAS5010 동아시아담론의역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 담론은 멀게는 동양에 대한 비동양권에서 제기된 논의 전부를 포함하고, 가깝게는 8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경제적 정치적 중요성의 대두와 더불어 동아시아 세계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탐구에서 비롯된다. 본 강좌는 20세기 후반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동아시아의 본질과 미래의 전망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살펴보고 그러한 담론이 제기되는 역사적 배경을 검토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동아시아 담론의 역사는 근현대 동아시아 지성사의 맥락에서 이해되어 할 지성사적 과제이다.
EAS5018 근대동아시아사회발전과변동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근대 동아시아(한국, 중국, 일본)의 사회변화를 유럽의 충격이란 측면에서만 보아 왔던 견해를 비판하면서 전근대와의 연속적인 면도 함께 검토한다. 그 가운데서도 동아시아 3개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EAS5027 일본의식민지지배와동아시아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일본에 의한 한국 식민지지배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만, 만주 등에 대한 지배와 비교하는 것이 하나의 유효한 방법일 것이다. 일본의 식민지지배를 비교사적인 관점에서 봄으로써 한국 식민지지배의 특색도 더 분명해질 것이고 그러한 관점에서 정치, 경제, 사상 등 다양한 각도에서 식민지지배의 양상을 연구한다.
EAS5032 전근대동아시아사료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수업에서는 자료를 통해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펴본다. 이를 이해 동아시아 3국에서 작성한 인구사 자료를 검토한다. 조선정부가 지방행정단위로 인구를 조사하여 작성한 戶籍大帳, 근세일본에서 중앙정부의 반기독교정책에 따라 자신이 기독교도가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사찰에 입적할 때 작성한 宗門改帳, 각 지역에서 인력을 동원하기 위하여 작성한 人別帳, 중국정부가 작성한 호적의 성격을 살펴본다.
EAS5036 동아시아근대이행과정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동아시아 지역의 근대 이행과정은 각 지역마다 차이점을 가지면서도 공통점도 많이 있는 과정이었다. 그런 차이점과 공통점은 한 편에서는 전통시대의 국가 사회 체제에 의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는데, 다른 한 편에서는 전통 자체가 근대 이행 이후에 새롭게 발견된 것이기도 했다. 수업에서는 그러한 전통과 근대의 이중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문제들을 취급한다.
EAS5039 동아시아문학문화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 삼국의 문학과 문화의 특정한 부분에 대하여 동아시아적 시각에 근거하여 상호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구명하여 그 시대적 의미를 고찰한다. 특히 각 국의 문학과 문화의 특정 국면에 대한 동질성과 이질성을 상호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적 특질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각 국의 문학과 문화에서의 기본 성격을 통해 당대 동아시아의 문화적 소통과 교섭 양상도 함께 고찰한다.
EAS5040 동아시아사회경제특강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19세기를 중심으로 해서 동아시아지역의 사회경제가 크게 변용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필요에 따라서 시대적으로 올라갈 수도 있지만 경제를 고립적으로 보지 않고 사회, 문화와 연결시키면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AS5044 동아시아고전자료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세계의 문화적 기반을 형성하는 동아시아의 기본적 세계관과 그 사상을 표현하는 한문을 체계적으로 공부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는 고전한문으로 쓰여진 동아시아의 고전문헌을 선별하여 강독함으로써, 동아시아 고대의 사상세계를 이해하면서, 한문 원전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둔다.
EAS5045 유교경전연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세계의 문화적 기반을 형성하는 유학의 기본적 세계관과 그 사상을 표현하는 한문을 체계적으로 공부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는 유학의 근본 문헌인 四書를 비롯한 여러 經典을 원문을 통해 읽어 나감으로서 유학의 기본 사상을 배우면서 한문 원전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둔다.
EAS5047 해외의한국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학 연구는 동아시아학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근대 이후 해외 특히 서구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한국을 바라보는 서양의 관점을 단적으로 대변한다. 해외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오리엔탈리즘의 역사를 탐색하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고, 그 역사를 통해 한국 문화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EAS5103 해외동아시아학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가 세계 정치, 경제의 새로운 중심으로 급격히 부상하면서 관련 연구도 괄목할만큼 성장하고 있다. 일본, 중국 및 유럽, 미국 등의 관련 주요 학자들의 저작을 통해 현재까지의 동아시아학의 연구 성과를 살피고, 각각의 입장에 따라 동아시학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EAS5104 근대문학연구방법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이 과목의 목표는 근대문학연구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창출하는데 있다. 그동안 근대문학연구의 주류적 성격은 텍스트 해석학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 학계의 동향은 문학연구를 문화연구의 한 범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조응하여 근대문학의 문화사적 성격을 포괄적으로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다. 동시에 근대문학의 지역공간적 상동성의 문제, 즉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한국근대문학의 특수성을 설명하려는 것도 이 과목의 개설 의도 가운데 하나이다.
EAS5106 동아시아사회조사방법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학 연구에 필요한 각국의 인구, 계층, 여론, 경제활동 등에 관한 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과학적 태도를 갖추는 방안에 초점을 둔다. 각국이 지니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함께 고려하여 조사하고자 하는 이슈에 있어서 객관적 조사결과를 추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EAS5107 전근대동아시아의지식문화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지식은 권력관계와 담론의 표현 형식, 그리고 계급ㆍ계층ㆍ젠더ㆍ지역의 상황을 수반하지 않고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식의 범주 안에는 단지 제도화된 아카데미의 공간에서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교양ㆍ상식ㆍ취미ㆍ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교양ㆍ상식ㆍ취미ㆍ정보 등의 지식은 지식의 하부구조를 이루고, 특히 해당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이와 같은 사회적 조건과 지식문화 형성의 상황을 전근대 동아시아 문화의 변동과정을 통해 살핀다.
EAS5111 동아시아의가족결혼여성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동아시아의 중심 이념인 유교는 여성 억압적 구조를 재생산해왔다고 평가된다. 그 여성 억압적 구조는 가족 종족 중심의 가부장제와 그 가부장제를 지지하는 효의 윤리 때문이라고 이해된다. 동아시아 전통 사회에서의 가족 결혼 여성에 관한 탐구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요청되는 새로운 가족 여성의 존재 방식을 기획하는 실천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EAS5114 전근대중국의국제관계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고대에서 근대로 이어지는 중국 본토의 역사 속에 투영된 전쟁과 평화의 역동성을 조명한다. 왕조간 세력다툼과 협력의 정치가 반복되는 가운데 형성된 당시 국제관계가 현대의 국제정치에 비출 때, 어떠한 역사성을 갖는지 평가한다.
EAS5115 전근대동아시아의국제관계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기원 후부터 19세기까지의 동아시아 지역을 국가건설과 서구와의 접촉이라는 두가지 관점에서 회고한다. 동아시아 자체의 전통적 국제질서가 형성된 초기과정을 이해한 뒤, 이것이 서구 제국주의와 만나면서 변형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EAS5120 전근대한중문학교류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한국 고전문학 전통의 일각은 중국문학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다. 한문학과 고전소설 문학에 있어서 나타난 양국 문학의 교호작용을 다루고, 근대 이후에도 지속된 양국 문학의 교호작용을 비교문학의 방법론에 입각하여 다룬다.
EAS5121 근대매체와근대문화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근대문화의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제도는 매체(미디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화연구에서 매체의 다각적인 분석은 매우 불충분하다. 매체는 동아시아 근대사회에서 지식의 이동, 사상의 전파, 문화형식의 확산을 가능케 한 핵심기제였으며, 근대 동아시아의 보편적 문화지형을 만드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이점을 분석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EAS5123 한국근대문화론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한국 근대 사회에 대한 문화론적인 접근은 최근에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연구경향이다. 여기서 문화의 개념은 관습·가치·규범·제도·전통 등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생활양식, 대중문화와 관련된 이데올로기, 상징체계 또는 의사소통양식, 사회통합 및 조절의 기제 등과 같은 광범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근대문화에 대한 학계의 최근 관심은 1990년대 이후 계속되어온 근대성 연구의 심화 및 확장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근대문화적 관점에 의한 연구의 대상은 출판·학교·근대적 독자·매체, 교통수단·성(性)·몸·질병·연애·주거공간·복식(服飾)·광고·범죄·공중위생 등 매우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다.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문화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한국 근대의 상을 당대의 삶의 실제에 입각해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유익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유행과 모방이란 ‘문화’의 기본 성격을 통해 당대 동아시아의 문화적 소통과 교섭 양상을 재구해 볼 수 있다.
EAS5126 근대문화의사회사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지금까지 사회분석은 주로 정치, 경제와 같은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문화현상과 사회구조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식민지배, 근대종교, 사회주의, 전쟁 등 동아시아 근대사회의 핵심적인 사회현실이 만든 문화적 표현의 구체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EAS5127 근대동아시아의인구변동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근대 동아시아 각국 및 지역의 인구변동을 민족의 구성 및 지리적 분포의 관점에서 대별한 뒤, 이들 변화가 정치, 경제, 사회적 관점에서 동아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